

5.1 안정도검토 목적
-
- 전력계통의 부하변화와 사고등 외란(DISTURBANCE)에 대해서 각 발전기전압이 일정한 상차각을
유지하고 동기운전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안정도(STABILITY)라고 부른다.
- 안정도는 외란의 크기, 발전기, 송전선, 부하의 접속방법, 계통구성, 발전기의 기기정수, 발전기와
부하의 유효․무효전력 , 발전기 전압조정기(AVR), 조속기(GOVERNOR) 등의 자동제어계 등의 많
은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.
- 전력계통 동특성해석을 통하여 한전 전력계통 사고로 인한 계통분리시 열병합 발전소 단독 운전에
대한 GENERATOR의 부하 추종성과 주파수특성을 해석하여 계통 안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지도
확인하고, 이를 위한 적정한 계통분리 시간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.
5.2 검토 CASE 선정한전측 또는 수용가내의 계통 사고로 인한 계통분리 및 발전기 탈조등에 따른 수용가 계통의
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부하특성과 운전상태를 파악하여 중요 SIMULATION CASE를 정하여 계통에
미치는 영향을 분석.
-
한전계통의 전압외란 (DISTURBANCE)에 대한 영향
- 한전계통을 분리하지 않는 경우 (NO LOAD SHEDDING)
- 한전계통을 분리하는 경우 (LOAD SHEDDING)
-
수용가 내부 계통에서의 사고 영향
- 154KV 계통 단락사고
- 22KV 계통 단락사고
-
LOAD SHEDDING (한전계통 분리시) 등
5.3 SIMULATION 항목컴퓨터 PROGRAM에 현재 전력계통 구성과 같게 구성하고 선정한 CASE를 반복 SIMULATION
으로 최적의 개선대책을 수립한다
-
- 각 NODE의 전압의 시간적 변화
- 발전기들의 주파수, 위상각의 변화
- 계통의 동요
- 등을 해석하여 안정성 여부 및 증진대책, 계통 운용 등에 활용한다.
5.4 대책방안 수립
-
- 한전측계통 사고시 전압외란에 대한 대책
- 수용가 구내계통 사고시 전압외란에 대한 대책
- LOAD SHEDDING (부하차단계획)
- 보호계전기 정정치 선정
CASE#1 : 메인변압기 2차 Feeder말단 3상 단락사고 예


[ 동기전동기, 4-발전기 11MW, 5-발전기 18.7MW, 6-발전기 18.7MW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