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력계통분석


- 전원측(한전) 및 계통 각 전력기기 Impedance 자료수집
- 고장전류계산 Program에 수집자료 입력 및 계산
- 3상단락전류계산, 3상단락용량계산, 2선단락전류계산, 1선지락전류계산
- 차단기 차단용량 결정
- 전력기기의 기계적강도 및 정격 결정
- 보호System선정 및 보호계전기 Setting에 활용
- 통신 유도 장해 검토
- 계통구성안 결정
- 유효접지조건 검토 등에 활용하기 위함이다.

- 각종 보호계전기 정정값이 전위ㆍ후위 보호계전기간 협조되도록 계산
- 동작협조곡선 작성
- 현장 Setting 지원
- 차단기 차단용량 결정
- 설비사고의 최소화 및 사고시 정전의 범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.

- 운전CASE별, 계절별 계통운전 상황에 따라
- 한전측에서 공급되는 유효전력, 무효전력량
- 발전기측에서 공급되는 유효전력, 무효전력량
- 각 모선의 전압강하
- 각 모선의 유효전력, 무효전력 흐름도 분석
- 전력용 콘덴서 설치위치 및 투입량
- 운전 패턴에 따른 역률관리 방안
- 변압기 부하율
- LOAD SHEDDING
- 계통 총손실량 등 검토하여 계통의 최적 운전조건을 추적한다.

- 전력계통 임피던스 및 대형기동부하 자료조사
- 전력계통 컴퓨터 PROGRAM에 입력
- MOTOR STARTING - 기동방식, 변압기용량선정
- 기동시 순간전압강하 계산
- 반복 SIMULATION에 의한 최적의 개선대책 추적

- 고조파 현장실측 및 고조파 발생기기 자료수집
- 기기에 미치는 영향검토
- SIMULATION에 의한 최적의 개선대책안 제시
- 개선대책후 고조파 예측계산 및 효과

- 한전계통의 전압외란에 대한 영향
- 수용가 내부 계통에서의 사고 영향
- LOAD SHEDDING (한전계통 분리시) 등에 대한 검토
- SIMULATION을 통하여 각 NODE의 전압의 시간적 변화
- 발전기들의 주파수, 위상각의 변화
- 계통의 동요등의 안정성 여부 및 증진대책, 계통 운용 등에 활용한다.
- 개선대책안 제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