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3.12.05 00:00
분류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
---|
만약, 이 지락사고 전류가 간헐적으로 생기거나 계속 흐르도록 방치하면 심각한 과도 이상전압이 대지간에 생길 수 있으며, 그 크기가 상전압의 6배 내지 8배에 이른다. 이것이 절연을 파괴시키고 동시다발의 전동기 소손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(IEEE 2421986, p278). 이 과도 이상전압은 계통 Capacitance의 반복 충전 때문이거나 계통 Capacitance와 기기의 Inductance간의 공진에 의하여 발생된다. 1선 지락사고가 난 상태로 방치하여 두면 두 번째 지락사고시 Phase-to-Ground-to-Phase Fault가 되어 대전류가 흐르면서 상 과전류 계전기에 의하여 Trip된다. 3.3KV계통은 비접지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, GPT와 ZCT를 조합하여 SGR(선택 지락계전기)로 지락보호를 하고 있다. 이 방식은 지락사고시 수 A정도의 적은전류가 흐르므로 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중요한 부하는 지락사고시 Trip시키지 않고도 운영할 수 있다. 그러나, 이 방식은 결선 및 극성이 맞지 않으면 오동작 하거나 부동작 하게되며 GPT, 한류저항 등의 용량이 작아 소손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. |
|
번호 | 분류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
22 | 고장전류 계산 예 | 사례 1 | 관리자 | 2003.12.05 | 555758 |
21 | 고장전류 계산 예 | 사례 2 | 관리자 | 2003.12.05 | 18286 |
20 | 지락고장 계산 | 1선 지락시의 지락전류 계산기본식 | 관리자 | 2003.12.05 | 73452 |
19 | 지락고장 계산 | 직접접지(다중접지)계통의 지락전류 계산 | 관리자 | 2003.12.05 | 65890 |
18 | 지락고장 계산 | 저항접지 계통의 지락전류 계산 | 관리자 | 2003.12.05 | 37134 |
17 | 지락고장 계산 | 비접지 계통의 지락전류 계산 | 관리자 | 2003.12.05 | 597850 |
16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 개요 | 관리자 | 2003.12.05 | 69930 |
15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 직접접지 (Solid Grounding) | 관리자 | 2003.12.05 | 52303 |
»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 비접지 (Ungrounded System) | 관리자 | 2003.12.05 | 31976 |
13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 저항접지(Resistance Grounding) | 관리자 | 2003.12.05 | 34265 |
12 | 접지방식과 지락전류 | 각 접지방식 비교표 | 관리자 | 2003.12.05 | 36198 |
11 | 고장전류 계산 STEP | STEP 1 ∼ STEP 2 | 관리자 | 2003.12.05 | 30362 |
10 | 고장전류 계산 STEP | STEP3 | 관리자 | 2003.12.05 | 492850 |
9 | 고장전류 계산 STEP | STEP4 | 관리자 | 2003.12.05 | 24105 |
8 | 비대칭계수 | 비대칭계수 | 관리자 | 2003.12.05 | 60776 |
7 | 임피던스 | 전원(한전)측 Impedance | 관리자 | 2003.12.05 | 62122 |
6 | 임피던스 | 케이블 및 전선 | 관리자 | 2003.12.05 | 143296 |
5 | 임피던스 | 변압기 임피던스 | 관리자 | 2003.12.05 | 580937 |
4 | 임피던스 | 회전기 임피던스 | 관리자 | 2003.12.05 | 67175 |
3 | 고장전류계산 목적 및 종류 | 고장전류계산 목적 | 관리자 | 2003.12.05 | 203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