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표 1-1 > 접지방식 비교
구 분 |
직접(다중)접지 |
비접지 |
저항접지 |
결선도 |
 |
|
|
중성점 저항 |
Z ≒ 0 |
Z ≒ ∞ |
Z = R |
지락전류 |
수백 ∼ 수천 A |
수 A 이하 |
임의조정 (5 ∼ 200 A정도) |
1선 지락시 건전상 전위상승 |
1.3 E |
E
|
E
|
유도장해 |
대 |
소 |
중 |
전원공급(Service) |
Trip at the first
fault |
No trip at the first
fault |
Trip at the first
fault |
장 점 |
· 보통의 절연강도 · 단순한 보호방식 (OGGR) ·
과도전압감소 |
· 중단없는 전원공급 · 적은 고장전류 |
· 적은 고장전류 · 지락보호 용이 ·
중간수준의 절연강도 · 과도 과전압 감소 |
단 점 |
· 전원공급 중단 · 큰 고장전류 · 높은 접촉전압 |
· 과도 과전압 상승 · 높은 절연강도
요구 · 지락보호 난이 (GPT, ZCT, SGR) |
· 전원공급 중단 · 열적 스트레스
발생 | |
위의 <표 1-1>에서와 같이 각 보호방식별 장·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각 수용가의
전기적 특성과 설비규모 등을 파악하여 접지방식을 선택해야 한다. 공장의 경우 처음 비접지 방식을 선택하였다가 공장규모가 커져
뱅크용량이 크게되면 비접지 방식의 보호로 보호가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.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
접지방식을 검토 하기보다 종래에 사용하던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때문에 접지방식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.
|
필자의 현장진단 경험에 의하면 설비규모가 점차 대형화 됨에 따라 접지방식도
비접지 < 저항접지 < 직접접지
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. |
| |
|